ARTIST
1945-
Rim Dongsik (b. 1945), acquired his master’s degree from HFBK University of Fine Arts Hamburg, graduating with top honors, and has since been working mainly in South Chungcheong, Korea. Early in his career, Rim formed the performance art group “Yatoo” to carry out outdoor-sited performances and installations that commune with nature. Rim is a pioneering figure who deviated from existing art establishments early on and assimilated himself with the sensations felt in natural spaces, which allowed him to lay the foundations for Nature art in Korean contemporary art. Moreover, while studying abroad in Germany, he had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Hamburg’s art scene, where the artists of Fluxus such as Joseph Beuys, Nam June Paik, and John Cage took the lead. This experience sparked his interest in various forms of experimental art that combine life and art, prompting him to broaden the artistic methodology. By the 2000s, Rim’s work, which had explored experimental art forms in natural spaces, developed into reinterpretations of his performances with natural objects into oil paintings on canvases and landscapes of the neighborhood where he resides. As opposed to before, when Rim intervened directly in nature, he stepped back and made nature the subject of performances. Rim also captured images of mountains, trees and other natural elements on canvases while standing as an observer. Rim’s paintings contain his persistent exploration of the concept of nature, while at the same time retaining an unfolding narrative. Rim has constructed his own original formative language based on his philosophical inquiry into the question of “what nature and culture are.” He still consistently presents various works with an artistic attitude that internalizes nature.
임동식 (b. 1945)은 독일 국립 함부르크 미술대학(HFBK University of Fine Arts Hamburg) 석사를 특등으로 졸업 후, 현재까지 고향인 충남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활동 초기 작가는 퍼포먼스 미술그룹 ‘야투(野投)’를 결성해 자연과 교감하는 야외현장 퍼포먼스 및 설치 작업을 지속했다. 그는 일찍이 기존 미술계의 영역을 벗어나 자연에서 느끼는 감각에 자신의 몸을 동화시켰고, 이를 통해 한국현대미술에서 자연미술(Nature Art)의 토대를 마련한 입지적 인물이다. 또한, 독일 유학시절 요셉 보이스(Joseph Beuys), 백남준, 존 케이지(John Cage) 등 플럭서스(Fluxus) 계열의 예술가들이 주도하는 함부르크의 예술현장에 직접 뛰어들어 삶과 예술이 어우러진 다양한 형태의 실험적 미술을 시도하고 작업 방식의 확장을 도모했다. 이처럼 자연공간에서 폭넓은 실험적 예술행위를 탐구해 온 그의 작업은 2000년대에 접어들어 자연물과 더불어 작업했던 퍼포먼스를 캔버스에 유화로 재해석하거나, 그가 사는 곳 인근의 풍경화를 그리는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자연에 직접 개입하던 이전과 달리, 그는 퍼포먼스의 주체를 자연에게 내어주고 한 발 물러나 나무, 산 등의 자연적 소재를 관찰자의 위치에서 캔버스 위에 기록하고 있다. 그는 서사적 전개가 살아있으면서도 자연 개념에 대한 그의 끈질긴 고민을 평면에 담아내고 있다. ‘자연과 문화란 무엇인가’에 대한 철학적 사유를 바탕으로 자신의 독창적 조형언어를 구축한 임동식은 자연을 내면화하는 예술적 태도를 꾸준히 지향하며 이를 다채로운 조형언어로 풀어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