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ST
1971-
The work of Nakhee Sung (b. 1971), who explores abstract images through basic elements of painting such as points, lines and planes, resembles jazz music taking place on a canvas rather than on a score. The artist expresses the thoughts that come to her mind like an improvised jazz performance through free and irregular brushstrokes. As the colors accumulate, the minimal elements of painting are interwoven with one another, and develop into more complex and abundant hues to form multiple steps. Hence, the thoughts, feelings and brushwork painted at the beginning stage of the work are covered by the current, or most recent, feelings and colors. It is similar to the way that the musicians in a band gradually reveal the flows of their minds and unique techniques by continuously modulating and transposing the basic motif they have chosen as the foundation of their performance. In fact, the artist has used words appropriated from the discipline of music, such as “transpose” and “modulate,” to name her works and exhibitions. Moreover, if the viewers look deeply into Sung’s works, they discover another aspect beneath the exterior layer: Each layer above and below is painted in images that in some way oppose the neighboring layer, for example, straight lines below curved lines and narrow shapes beneath wide planes. The gradation technique, besides, further emphasizes the work’s sense of rhythm and three-dimensional quality, as well as revealing the flow of time. Sung Nakhee visualizes the basic elements of music, such as rhythm, harmony and melody, through intentional brushstrokes, multiple layers and combinations of color, thus constructing a unique method of abstract painting that embodies dynamic space through a self-controlled approach of expression.
점, 선, 면 등 회화의 기본 요소들로 추상적 이미지를 탐구하는 성낙희(b. 1971)의 작품은 악보 대신 캔버스 위에 펼쳐지는 재즈 연주를 닮았다. 작가는 자신이 떠올리는 생각들을 마치 재즈의 즉흥연주(Improvisation)처럼 자유롭고 변칙적인 붓질로 표현한다. 색상이 쌓임에 따라, 최소한의 회화 요소들은 서로 엮여가며 보다 복합적이고 풍부해진 색상으로 발전해 여러 층계를 이룬다. 이로써 작가가 작업 초반에 그려낸 생각, 느낌, 붓질 등은, 현재의 또는 가장 최근의 감상, 채색에 의해 덮인다. 마치 음악 밴드의 연주자들이 연주의 토대로 삼은 기본 악상을, 공연 중에 계속 조바꿈(modulation)과 조옮김(transposition)으로 변주함으로써 점차 자기 생각의 흐름과 고유 주법을 드러내는 방식과 유사하다. 실제로 작가는 ‘조바꿈(modulate)’과 ‘조옮김(transpose)’ 등 음악 용어에서 차용하여 자신의 전시명과 작품명을 붙이곤 하였다. 또한 성낙희의 작품을 심층적으로 들여다보면 겉면 아래에 다른 면이 덮여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위아래에 놓인 각 레이어는 곡선 밑의 직선, 넓은 면 아래의 좁은 면 등 서로 상반된 형태를 지닌 이미지로 그려져 있다. 이와 더불어 활용된 그라데이션 기법은 작품의 입체감과 리듬감을 돋보이게 하며, 시간의 흐름을 드러내기도 한다. 이처럼 성낙희는 음악의 기본 요소인 리듬, 화성, 멜로디를 의도된 붓질, 다층의 레이어, 색상의 배합으로 시각화하며, 절제된 표현 방식으로 운동감 있는 공간을 구현해내는 자신만의 추상화법을 구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