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na Art

ARTIST FOCUS

SHIM MOON-SEUP 심문섭 Interview

03/10/2022

In the winter of 2021, Gana Art met the artist Shim Moon-seup, who was preparing for an exhibition, at his Tongyeong studio. From the story of his work in Tongyeong to his thoughts on sculpture and painting, it is a condensed glimpse into his 50 years of life as an artist.

2021년 겨울, 가나아트는 한창 전시 준비 중인 심문섭 작가를 그의 통영 스튜디오에서 만났다. 유년 시절 앞바다에서 자맥질하던 것처럼 그림 그리기에 흠뻑 빠져있다는 그에게 근간을 물었다. 통영에서 작업하는 이야기부터 조각과 회화에 대한 생각까지, 50년 화업 인생을 압축해 엿보았다.

2021. 12. 13. in Tongyeong Atelier

Gana (G): Hello, Mr. Shim. Could you please tell us a little bit about yourself?

Shim Moon-seup (S): My name is Shim Moon-seup. I’m from here in Tongyeong, one of the most remote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atelier we are sitting in was constructed four years ago. It’s where I paint and also store my work.

G: At your Retrospective Exhibition held in 2017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 was able to view your work in its entirety. The emphasis on natural objects such as soil, wood, and water was very impressive. I’m curious whether you take much inspiration from nature.

S: Childhood experiences and the environment in which a person grows up play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artwork, but also in other forms of art such as literature. These experiences serve as the foundation for vividly forming the artist himself. I was naturally able to connect with nature because I lived in a town on the coast with beautiful natural scenery. When I was young, it was an agricultural society, not an industrial one. When I was in elementary school, I sang songs such as “Spring in My Hometown” and lived a life immersed in nature. I believe that my artistic inspiration stems from such a childhood.

G: You have been primarily working in Tongyeong as of late. Is there a particular reason for this?

S: My life has been centered in Seoul. Because Seoul is the central hub of Korea, I received my education and worked as an artist there. But around a decade ago, my atelier in Seoul began to feel cramped. I needed a bigger space, and found one in Tongyeong. I was more than happy to move here as it’s my hometown. Now I have a studio in Paris, where I also work. When I work in Paris versus when I work in Tongyeong, I feel that the essence of the work is different. I feel that there is a slight variation depending on the visual and location. Regardless, working in Tongyeong is good because the space is ample. Such a space is hard to find in Seoul. Because the artist’s work is born in the atelier, the environment of the atelier is crucial. Another thing is the food. All the foods I enjoyed as a child are here in my hometown. And because it’s easy to commute, I can make the most of my time. Tongyeong is the best place for me to work for these reasons.

G: Perhaps your recent flat works are reminiscent of the sea because you can see the sea from your window as you work. Are you influenced somehow by the sea of Tongyeong? 

S: I don’t paint while looking at the sea. I refer to the image of the sea that’s been imprinted in my mind. To me, the sea is an ever-changing entity. At times, I imagine the sea to be picturesque, while at other times, I imagine it to be turbulent due to typhoon winds. And sometimes, I perceive it as having a temporal rhythm of waves entering and leaving existence. I believe that it’s important to capture the various connotations of the sea. So, instead of observing the color of the ocean with my eyes, I rely on what is etched in my memory. I spent two months in Beijing and several months in Paris working on flat works. Even then, I would say that I developed my logic by referencing the images, colors, and shapes in my memory.

G: You used the expression ‘temporal rhythm.’ When looking at some of your paintings, you can actually feel the rhythm of the waves. Did you intend to create that effect?   

S: Artists believe that just as the sea today is distinct from the sea yesterday, it cannot remain in one place. Initially, I expressed the overall sea or the concept of time, but I thought that I should include fleeting elements in paintings, as opposed to a fragmented, moment-by-moment image that breaks down into units as time passes. This evolved into a pattern, and the pattern acquired order on an unlimited scale. It continues to expand without end. When viewing my paintings, you’ll see that a chain reaction occurs that spreads in all directions. I believe that expansion and resonance are important, and the expression of fleeting and unitary elements has led to my present work. But you never know. It remains to be seen when and in what direction to turn. But what’s certain is that it won’t stay in one place.

G: You seem to be producing more flat work than sculpture recently. Is there any particular reason for this?

S: I majored in sculpture in college. When we learn sculpture in school, we receive the title sculptor and immediately head straight for the rails. Because sculpture is a material art, I dealt with a great deal of materials. Previously, the artist was the center of the sculpture, and he did whatever he pleased. In my case, I felt that the material wa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the material and the artist need to breathe and meet from an equal perspective in order to produce a specific result. That was a very unique concept in comparison to other sculptors. I focused more on the material than the left and right shapes, paying close attention to what kind of material is contained. I did this as the years went by, and of course, I continued to draw and paint as well.

However, one day in Paris, I didn’t set out to become a painter, but I came across a canvas and decided to try my hand at it. I didn’t think, “That’s it. I’m going to be a painter from now on.” I gradually became a painter without realizing it. Eventually I thought, “Perhaps I will give this a try…” Some argue that sculpture is the best form of art, but painting is the true essence of art. When I was sculpting, I had a desire or thirst to try my hand at painting, and it seems that this desire exploded. So now I spend a lot more time working on flat works than on sculpting. This change feels very natural to me and fits my way of life.

G: How are sculpture and painting similar or dissimilar to you?

S: Even when you’re sculpting, the act of painting is always present. It is impossible to separate the two. Of course, the tools change from hammer and chisel to brush, canvas, paint and so on. I would also like to present a more fundamental approach to painting. For instance, I like to convey my experience of swimming, playing, and deep diving that I had as a child onto the canvas, and I wish to express a rather playful concept. I’m currently working on a piece that emphasizes the function of the hands and is created by actively striking the surface, with the artist’s handwriting, action, and breath at the center of the work’s production.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sculpting and painting? Indeed, the two genres are indistinguishable. However, many people who view my paintings comment that there are “numerous sculptural elements.” This is because my paintings contain numerous three-dimensional elements. It may be because I am a sculptor working as a painter that such elements are being expressed unbeknownst to me. In this regard, it distinguishes me from other painters, which may be a good thing.

G: I’m curious about what process your paintings go through in their creation.

S: In my painting theory, I anticipate that things will not always go as planned. First, I apply oil paint to the surface, followed by acrylic paint. Because oil repels water, it doesn’t adhere well. Then I paint dozens of times with fervor. If I paint dozens of times, the previous image is erased and a new one is created, preventing the appearance of the same image. As time passes, the colors fade and the actions become organized, resulting in an order I never anticipated. Through this process, I feel that I’ve arrived at a somewhat limited world that I can construct. There are instances today where I apply acrylic paint directly without oil painting. Even if I don’t use oil paint, I feel that I can ride with the flow while maintaining control, as opposed to painting everything in a hurry. Occasionally I still apply the undercoat, and sometimes I don’t.

G: Thank you for taking the time to share your insights. This will be my last question. You have been an artist for over 50 years. It is admirable that you remain so engaged in artistic endeavors. I am curious as to what motivates you to continue producing new works. 

S: Each individual has a unique way of life and a specific role to play. I have thus far followed the path of an artist. Art is not compensatory in a sense. You don’t create art in the hopes of receiving something in return; you do it because you enjoy it. As I delve deeper into my work and produce more pieces, I receive responses from others and gain the support of my audience, which both gives me new energy and expands my horizons. I began my painting career a little late. Because I started late, I feel as though I have to make up for lost time, similar to being behind on a school assignment. First of all, it’s fun and I become deeply immersed in it. In a sense, it could be comparable to diving and floundering in the water. I deep dive in the water, observing a world that I could not see from the surface, and experience sensations that others do not. Also, I wish to depart from the current minimalist theory. The minimalist form is rigid and concrete, and I’d like to distance myself somewhat from that. If people develop a certain imaginary world while viewing my paintings or find their own space for dialogue, I am satisfied with that.


2021. 12. 13. in 통영 아틀리에

가나(G): 안녕하세요 작가님,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심문섭(S): 여기는 대한민국 제일 끝자락 반도 통영 내 고향입니다. 저는 심문섭입니다. 지금 우리가 앉아있는 이 아틀리에는 한 4년 전에 새롭게 신축한 공간입니다. 작품 수장고 겸 페인팅 작업을 하는 곳입니다.

G: 지난 2017년 국립현대미술관 회고전에서 작가님의 작업 전반을 둘러볼 수 있었습니다. 흙, 나무, 물 등 자연물이 중심됨이 무척 인상 깊었는데요. 실제로도 자연에서 많은 영감을 받으시는지 궁금합니다.

S: 미술뿐만 아니라 문학 등 예술을 하는 데 있어서 자기가 태생한 곳, 유년기의 체험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너무나 생생하게 작가 자신을 형성하는 토대가 되기 때문입니다. 저는 아주 아름다운 경관을 가진, 바다를 끼고 있는 도시에서 생활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자연과 결부될 수 있었습니다. 제가 어릴 때만 해도 산업 사회가 아니었고 농경 사회였습니다. 학교 다닐 때도 “나의 살던 고향은 꽃피는 산골” 같은 노래를 부르며 자연에 흠뻑 젖어서 생활했습니다. 그러한 토양이 바로 제 예술의 근원이라고 생각합니다.

G: 작가님께서는 최근에 주로 이곳 통영에 머무시며 작업을 하십니다. 특별한 이유가 있으신지요.

S: 제 생활의 근거지는 서울입니다. 한국은 모든 중심이 서울에 있기 때문에 교육도 서울에서 받았고 작가 활동도 서울에서 했습니다. 그런데 10년 전부터 서울의 아틀리에 공간이 협소하게 느껴졌습니다. 좀 더 큰 공간이 필요해서 찾은 곳이 통영입니다. 고향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접근이 되었죠. 지금 저는 파리에도 작업실을 가지고 있고, 거기서도 작업을 합니다. 파리에서 작업을 할 때와 통영에서 작업을 할 때 작업 호흡이 다르다는 것을 느낍니다. 시각적으로 보는 것과 장소성에 따라서 조금의 변화가 있는 것 아닌가 생각합니다. 어쨌든 고향에서 작업하는 것은 일단 공간이 널찍해 좋습니다. 서울에서는 이만한 공간을 갖기 어렵지요. 작가의 작품은 아틀리에에서 탄생하기 때문에 아틀리에 환경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리고 또 하나는 먹는 것입니다. 어릴 때 먹던 게 고향에 다 있다는 거. 그리고 출퇴근이 용이하기 때문에 시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게 좋습니다. 이런 이유들 때문에 통영에서 작업을 합니다.

G: 이렇게 창밖으로 바다가 보이는 데서 작업을 하셔서 그런지, 최근의 평면 작품은 바다를 연상시킵니다. 실제로도 통영의 바다 풍경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으시는지요.  

S: 저는 바다를 쳐다보면서 그림을 그리지는 않습니다. 뇌리 속에 각인된 총체적인 어떤 하나의 바다를 참고합니다. 저에게 바다란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존재입니다. 어떤 때는 풍광이 아름다운 바다로 다가오고, 어떤 때는 변화무쌍한 태풍이 부는 바다가 되고, 어떤 경우엔 파도가 밀려왔다 가는 시간적인 리듬, 태어났다가 사라지는 시간적인 리듬이 있는 바다가 됩니다. 그러니까 여러 가지 의미의 바다를 끄집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그래서 바다의 색깔도 직접 본다기보다 기억에 각인된 것을 참고합니다. 요컨대 북경에서도 두 달간, 파리에서는 몇 달간씩 평면 작업을 하는데, 그럴 때도 기억 속 저의 심상, 정신 속에 있는 색깔이나 형태를 참고하며 논리를 전개한다고 봐야겠지요.

G: ‘시간적인 리듬’이라는 표현을 쓰셨습니다. 실제로 작가님의 그림을 바라보고 있으면 파도치는 듯한 리듬감이 느껴지는데요, 특별히 의도하신 걸까요.    

S: 어제의 바다가 오늘의 바다와 다른 것과 마찬가지로 한곳에 머물 수 없다는 게 작가의 생각입니다. 그래서 초반에는 총체적인 바다라든지 시간의 개념을 표현했다면, 점차 지나면서 단위별로 쪼개지는, 순간순간 터지는, 뭉뚱그려진 게 아닌 찰나적인 요소를 그림에 가미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렇게 패턴이 되고, 또 패턴은 어떤 무한대의 질서를 갖게 되었습니다. 한정없이 계속 팽창하는 것이지요. 제 그림을 보면 사방으로 퍼져나가는 연쇄 작용이 있습니다. 팽창, 울림 등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찰나적인 요소, 단위적인 요소를 표현하다 보니 지금의 작업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또 모르죠. 또 언제 어디로 방향을 턴할지는 두고 볼 일입니다. 다만 한곳에 머물러 있진 않을 것입니다.

G: 최근에는 조각보다 평면 작업을 더 활발히 하고 계신 듯도 합니다. 어떤 계기가 있으셨을지요.

S: 저는 대학에서 조각을 전공했습니다. 우리는 학교에서 조각을 배우면 조각가라는 타이틀을 갖고 레일 위에서 쭉 나가게 됩니다. 조각은 물질의 예술이기 때문에 많은 물질을 다뤘습니다. 종래의 조각은 작가가 중심이 되어 작가 마음대로 하기 마련이었는데, 제 경우에는 물질과 작가가 대등한 입장에서 서로 호흡하고 만나서 어떤 하나의 결과물을 추출한다는 입장에서 소재를 중요하게 다뤘습니다. 그런 콘셉트가 다른 조각가와 많이 달랐습니다. 그 안에 어떤 물질이 있는지를 주목하며, 좌우간 형태보다도 소재에 더 집중하며 작업했습니다. 그렇게 세월을 보냈는데, 물론 그 가운데에서도 드로잉이라든지 그린다는 행위는 계속됐습니다.

그런데 파리에서 어느 날, 그림을 그리자고 한 건 아닌데 캔버스를 구해가지고 그 위에 물감칠을 하고 있는 거예요. ‘아, 지금부터 그림을 그리자’ 그런 게 아니었습니다. 나도 모르게 그렇게 하고 있었어요. 그러다 보니까 ‘아 이 세계도 내가 한번쯤은…’ 하는 생각이 드는 겁니다. 사실 미술의 으뜸을 조각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지만 미술의 본류는 회화입니다. 조각을 하지만 항상 ‘그림을 한번 그렸으면 그렸으면’ 하는 하나의 염원 내지 갈증 같은 것이 있었고, 그것들이 폭발했다고 보아집니다. 그래서 지금은 조각보다도 평면에 훨씬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습니다. 제게는 이런 변화가 제가 살아가는 방법론에 부합하는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G: 작가님께 조각과 회화는 어떻게 같거나 혹은 다른지요.

S: 조각을 한다고 해도 그리는 행위가 늘 함께합니다. 둘을 떼어놓을래야 떼어놓을 수 없습니다. 물론 도구가 망치와 끌에서 붓으로 바뀌고, 캔버스와 색깔을 사용하는 등의 변화는 있겠지요. 그 밖에 회화를 통해 저는 보다 근원적인 방법론을 제시하고 싶습니다. 이를테면 제가 어릴 때 수영하고 뛰놀며 바닥에서 자맥질하던 그러한 경험이 오롯이 캔버스에 전해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고, 상당히 유희적인 개념을 표현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좀 더 손의 기능이 부각되는, 행위가 적극적으로 화면에 부딪혀서 만들어지는, 이를 테면 작가의 필력이나 행위, 호흡이 작품 제작의 중심에 흐르는 작품을 하고 있습니다. 조각이다 회화다 어떻게 구분합니까? 두 장르는 구분할 수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 그림을 보는 많은 사람들이 ‘조각적 요소가 많다’ 하는 말을 적잖이 합니다. 그게 뭘까 하고 보면, 제 그림에 입체로 보여지는 부분이 많습니다. 제가 의식하지 않았는데도 그런 요소가 암암리에 표현되고 있다는 것은 제가 조각가로서 페인팅에 임하기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런 점에서 다른 회화 작가들과 구별되기도 하고, 어쩌면 좋은 점이 아닌가 합니다.

G: 작가님의 그림이 더욱 궁금해집니다. 어떤 과정을 통해 탄생하는지요.

S: 제 회화론은 저의 의지대로만 되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먼저 유성 물감으로 화면에 밑칠을 하고 그 위에 아크릴 물감을 칠합니다. 물이 유성에 반발해서 잘 묻지 않아요. 그러면 열심히 수십 번을 칠합니다. 수십 번을 해가면 먼저 것이 지워지고 또 다른 게 태어나서 똑같은 형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흐르는 시간에 따라 색깔도 마르고 행위들이 정리되면서 제가 생각지도 못했던 어떤 질서가 펼쳐지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저는 제가 창조할 수 있는 상당히 절제된 하나의 세계에 도달했다는 생각을 합니다. 요즘은 유성을 칠하지 않고 바로 아크릴 물감을 칠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성으로 밑칠을 하지 않아도 이제는 일사천리로 하지 않고 약간의 제어를 하며 제 호흡대로 갈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때에 따라 여전히 밑칠을 하기도 하고, 하지 않기도 하고 합니다.

G: 긴 시간 좋은 말씀 나눠주심에 감사드립니다. 마지막 질문입니다. 작가님께선 50년이 넘는 시간 동안 화업을 이어오셨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매우 활발한 창작 활동을 보여주신다는 점이 존경스럽습니다. 작가님의 작업 동력이 궁금합니다.  

S: 사람은 살아가는 방법이 다 다르고 또 자기가 해야 할 제 몫이 있습니다. 저는 여태까지 예술가의 길을 걸어온 것이지요. 어떤 의미에서 예술이란 것은 보상성이 없습니다. 어떤 것을 보상으로 바라며 예술을 하는 게 아니라 자기가 좋아서 하는 겁니다. 그것이 심화되고 쌓이다 보면 다른 사람들의 호응도 얻고 관객들의 지지도 받고, 그래서 더 에너지를 얻고 자기 세계를 펼치는 것이지요. 제 경우에는 페인팅을 늦게 시작했습니다. 늦었기 때문에 밀린 숙제를 하듯이 압축된 시간에 상당히 많이 하게 됩니다. 일단 재미가 있어서 함몰되다시피 흠뻑 빠져있습니다. 어쩌면 잠수해서 물속에서 허우적거리는 것과 같습니다. 물속에선 밖에서 보지 못하던 세계를 보면서 자맥질을 하고, 남들이 느끼지 못하는 걸 느끼기 마련이지요. 또 기존의 미니멀 화론에 없던 것을 하고 싶습니다. 미니멀은 형식이 구체적이고 딱딱한데요, 저는 그런 걸 좀 풀어보고 싶습니다. 사람들이 제 그림을 보면서 어떤 상상의 세계를 전개한다든지, 자기 나름대로 대화의 공간을 찾는다면 전 그것으로 만족합니다.


Copyright 2021.Gana Art.All right reserved / Filmed by Art Drunk